상장 리츠 투자 가이드: 국내 대표종목, 시장 규모, 금리 효과 분석

국내 리츠(REITs, 부동산투자회사)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상장 종목은 다양한 부동산 자산에 투자하며, 소액으로도 분산 투자와 안정적 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대표 종목으로서는 롯데, ESR켄달스퀘어, 롯데, 신한에서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각 리츠 별 투자 자산과 전략에 따라 차별화된 수익 구조를 제공합니다.

성장하는 국내 리츠 시장과 빌딩, 데이터센터, 물류센터, 지표 그래프가 조화된 인포그래픽

시장 규모

  • 2025년 4월 기준, 국내 (부동산투자회사) 시장의 자산총액은 약 106조 원입니다.
  • 2024년 5월 기준 운용자산은 98조 원이었으며, 최근 성장세에 따라 2025년에는 150조 원 돌파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 전체 리츠 수는 412개, 이 중 상장 리츠는 24개입니다.
  • 리츠 시장은 정부의 규제 완화, 금리 안정화, 투자 상품 다양화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려 리츠에 대한 투자자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유상증자 등 시장 내 이슈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한국리츠협회 : 바로 가기

투자자가 다양한 리츠 종목을 비교 분석하는 장면, 배당 그래프가 보이는 현대적 오피스 배경

주요 투자 대상

국내 리츠는 다양한 부동산 자산에 투자하지만, 아래와 같은 자산군이 대표적입니다.

  • 오피스 빌딩: 국내 상장 종목의 대부분이 오피스 자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임대료 수익이 안정적이고, 대형 오피스 빌딩이 주요 투자처입니다.

  • 주거용 부동산(임대주택 등): 임대주택, 아파트 등 주거용 부동산도 주요 투자 대상입니다. 최근에는 주택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 상업용 부동산(리테일, 쇼핑몰 등): 상가, 쇼핑몰 등 리테일 자산도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됩니다.

  • 물류센터: 전자상거래 확산과 함께 물류센터 투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신성장 인프라: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발전소 등) 등 신성장 섹터로 투자 대상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상장 종목의 투자 대상은 다양합니다.

  • 주택(47.1%)
  • 오피스(29.4%)
  • 리테일(쇼핑몰 등, 7.7%)
  • 물류센터(7.2%)
  • 혼합형, 기타(4.3%)
로비에서 리츠 운용사 실무진이 안정적인 배당 전략을 회의하는 전문적 느낌의 일러스트

주요 종목 정보

구 분주요 자산자산 규모상장연도비고
SK오피스, 주유소,
수처리센터 등
4.4조원/분기배당2021국내 최대 자산,
AA- 신용등급
ESR켄달
스퀘어
물류센터 중심2.5조원2021국내 대표 물류
롯데롯데그룹 핵심
상업시설 등
2.6조원2019대형 리테일 자산,
안정적 배당
신한오피스, 호텔, 물류,
복합자산 등
다양한 상품2018다양한 상품 운용

SK

  • 자산 규모 : 2024년 말 기준 4.4조 원, 국내 상장 종목 중 최대 규모

  • 주요 자산 : SK서린빌딩(통합사옥), SK-U타워(하이닉스 사옥), 종로타워, 주유소 111개, 수처리센터 5개 등 SK그룹 계열 핵심 부동산

  • 배당 및 안정성 : 국내 최초 분기배당 도입, 신용등급 AA-(국내 최고 수준), 임차인의 100% 장기책임임차 구조로 안정적인 임대료 수익 확보

  • 포트폴리오 특징 : CPI(소비자물가지수) 연동 임대료, Triple Net(임차인 관리비·보험료·세금 부담) 구조 등으로 수익 안정성 강화
국내 대표 리츠(오피스·물류·리테일·주택) 자산 이미지와 주가 그래프가 함께 있는 카드뉴스 스타일

ESR켄달스퀘어

  • 자산 규모 : 약 2.5조 원

  • 주요 자산 : 전국 물류센터(임대수익 97% 이상), 물류 인프라 중심 포트폴리오

  • 배당 및 수익성 : 최근 연간 배당수익률 약 5.7%, 영업이익률 46.6%로 업종 평균 상회

  • 특징 : 국내 대표 물류 리츠로, 물류산업 성장과 함께 자산가치 상승 기대. 시가총액 기준 업종 내 3위, 부채비율 132% 수준

롯데

  • 자산 규모 : 2.6조 원, 보유 자산 16개(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 핵심 상업시설)

  • 배당 : 최근(2025년 3월) 주당 112원 배당, 연 2회 지급

  • 특징 : 롯데그룹의 핵심 상업자산을 기반으로 한 장기책임임차 구조, 대형 리테일 자산 중심으로 안정적인 임대수익과 성장성 확보

  • 성장 전략 : 롯데그룹의 다양한 자산을 파이프라인으로 지속적 성장 추구
금리 인하 화살표와 함께 리츠 배당 매력을 부각한 현대적 아이콘, 인기 종목(롯데·ESR·SK·신한) 로고 포함

신한

  • 운용사 : 신한리츠운용(신한금융지주 100% 출자)

  • 주요 상품
    • 신한알파리츠: 판교 알파돔시티, 용산 더프라임타워 등 오피스 자산 투자, 연평균 5%대 배당률 목표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인천 대평 복합쇼핑몰, 용산 하이엔드 레지던스 호텔 등 복합자산 투자
    • 신한호텔천안리츠: 천안 비즈니스 호텔 투자, 안정적 배당 추구
    • 신한로지스리츠: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투자, 장기 마스터리스 구조

  • 특징 : 오피스, 호텔, 물류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며, 장기책임임차 및 우량 임차인 확보로 안정적 수익 추구

각 상품별로 자산구성, 배당정책, 성장전략, 임차구조 등이 다르므로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시장은 정책 지원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전망이 우세하나, 단기적으로는 유상증자 등 이슈에 따른 변동성도 유의해야 합니다.

분산투자·정기배당·안정성과 성장성을 상징하는 포트폴리오 다이어그램

금리 인하가 리츠에 미치는 영향

  • 자금 조달 비용 감소
    금리 인하로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운영할 때 필요한 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는 순이익과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 배당 여력 및 배당 매력 증가
    운영비용이 낮아진 만큼 배당금 지급 여력이 커지고, 실제로 배당금 인상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저금리 환경에서는 타 자산 대비 배당수익률이 더욱 매력적으로 부각됩니다.

  • 리츠 주가 상승 가능성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 투자자들의 리츠 수요가 늘어나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제로 금리 인하 국면에서 주가와 수익률이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투자 전략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

  • 오피스, 주거용, 리테일, 물류센터 등 여러 유형을 조합하여 투자하면 특정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국내외 상품을 함께 편입하면 지역별 경제 상황에 따른 위험도 분산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부동산 자산군을 아우르는 리츠 포트폴리오, 지도와 그래프 결합 이미지

배당 시기와 수익률 고려

  • 상장 종목마다 배당 지급 시기가 다르므로, 분기별로 배당이 들어오도록 여러 종목을 조합해 ‘월급형’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

  • 각 종목의 배당 수익률, 배당 이력, 자산의 품질과 위치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리밸런싱

  • 시장 상황이나 성과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비중을 조정하는 리밸런싱 전략이 중요합니다.

  • 예를 들어, 성장성이 둔화된 종목의 비중을 줄이고, 새로운 성장 섹터(예: 물류센터, 데이터센터 등)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투자 목적과 기간에 맞춘 전략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배당을 원하면 우량 자산 중심의 비중을 높이고, 성장성과 시세차익을 노린다면 신규 개발형 및 글로벌 상품 비중을 늘릴 수 있습니다.

  • 배당금은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