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으로 157억 달러 수익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매입해 기업 자산의 핵심으로 삼은 첫 미국 상장사로, 비트코인 투자와 관련해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기업입니다.

자산의 상당 부분을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전략적 결정을 내리면서 ‘비트코인 기업’이라는 별칭까지 얻었습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이 전략은 기업 재무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으며, 비트코인과 주가의 동반 상승, 기업가치의 극대화 등 다양한 시장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 설립: 1989년,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등 MIT 출신 창업진이 미국 버지니아주 타이슨스코너에 설립

  • 사업 변화: 전통적으로 기업용 분석(BI)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IT기업이었으나,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핵심 재무자산으로 채택하며 세계 최대 비트코인 상장 보유사로 변신

  • 리브랜딩: 2025년 2월, 사명을 ‘Strategy’로 변경. 비트코인 전략을 상징하는 주황색 브랜드 컬러와 새 로고 공개. 나스닥100 편입

주요 경영진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요 주주 및 지분구조

기관 투자자

  • Vanguard Fiduciary Trust Co.: 6.8% (16,303,720주)
  • Capital Research & Management: 5.3% (12,643,706주)
  • BlackRock Advisors LLC: 3.8% (8,993,640주)
  • Eaton Vance Management: 2.2% (5,258,141주)
  • UBS, State Street, Cantor Fitzgerald 등: 1~2% 내외

개인 및 내부자

  • 마이클 세일러: 약 1,961만 주 직접 보유(99.88%의 내부자 지분)
  • 폰 레(CEO), 앤드류 강(CFO) 등 임원진도 소수 지분 보유

주주 유형 및 구조

  • 기관투자자 38%, 개인 0.2%, 기타 및 미공개 55%
  • ETF, 연기금 등 간접 보유자까지 포함 시 5,500만 명 이상이 MSTR에 노출

재무 현황 및 손익

2024년 연간 실적

  • 매출: 4억 6,350만 달러(전년 대비 6.6% 감소)
  • 순손실: 11억 6,700만 달러(2023년 4억 2,900만 달러 흑자에서 적자 전환)
  • 주당순이익(EPS): -6.06달러(전년 +3.14달러)

2024년 4분기

  • 매출: 1억 2,07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3% 감소)
  • 순손실: 6억 7,080만 달러(주당 -3.03달러)
  • 비트코인 평가손실: 10억 600만 달러에 달해 대규모 적자의 주 원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재무구조

  • 부채비율: 1.13(2024년 3분기 기준)
  • 유동비율: 0.65로 단기 유동성 부담 존재

주가 및 시가총액

최근 주가 동향

  • 2025년 4월 28일 종가: 369.25달러
  • 2025년 3~4월: 240달러대 → 310~370달러대까지 급등락
  • 2024년~2025년: 비트코인 가격 급등과 함께 1년간 400% 이상 상승, 나스닥100 대비 초과수익률 기록

시가총액 및 전망

  • 시가총액: 약 816억 달러(2024년 말 기준)
  • 2025년 주가 전망: 평균 2,220~2,700달러(최고 2,749달러, 최저 1,696달러)
  • 주가 변동성: 비트코인 가격과 높은 상관관계, 단기적으로 과열 구간 진입 평가도 존재

비트코인 투자 전략 (2025년 기준)

전략의 개요와 변화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0년 8월부터 비트코인을 기업의 주요 자산으로 적극 매입하기 시작해,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이자 ‘비트코인 트레저리 컴퍼니’로 변신했습니다.

  • 비트코인을 인플레이션 및 법정화폐 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hedge) 수단이자, 장기적 자본 보존 및 주주가치 제고의 핵심 자산으로 간주합니다.

비트코인 매입 및 자금 조달 방식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사내 현금뿐 아니라, 전환사채(컨버터블 본드), 일반 회사채, 신주 발행(ATM, at-the-market offering) 등 다양한 금융 수단을 활용해 공격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해왔습니다.

  • 최근에는 2025년 4월 기준, 총 553,555 BTC를 보유 중이며, 누적 매입가는 약 379억 달러(비트코인당 평균 매입가 약 68,459달러)입니다.

  • 2024년 11월에는 일주일 만에 55,500 BTC를 54억 달러에 매입하는 등, 대규모 매수를 단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 발행과 약 2.5억 주의 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이뤄졌습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레버리지 및 ‘플라이휠’ 전략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프로사이클릭 레버리지 플라이휠(procyclical leverage flywheel)’ 전략을 구사합니다.

  • 즉, 비트코인 가격 상승기에 자산을 담보로 추가 자금 조달(신주·채권 발행) → 비트코인 추가 매수 → 주가 및 자산가치 상승 → 추가 자금 조달의 선순환 구조를 만듭니다.

  • 이 전략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기에는 수익 극대화가 가능하지만, 가격 급락 시에는 재무적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로서는 유동성 위기나 대규모 매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입니다.

수익률 및 주주 가치

  • 2025년 1분기 기준, 연초 이후 비트코인 투자 수익률(BTC Yield)은 13.7%, 비트코인 평가이익은 61,497 BTC(약 58억 달러)에 달합니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5년 연간 BTC 수익률 목표를 기존 15%에서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회사는 비트코인의 변동성과 수익성을 주주들에게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략을 취합니다. 즉,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곧바로 주가 및 주주가치 상승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추가 전략 및 혁신적 운용

  • 최근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대출, 파생상품 운용, 고정수익 증권과의 분리 운용 등 다양한 금융기법을 도입해 비트코인 보유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5년에는 210억 달러 규모의 신규 ATM(신주 발행) 계획을 발표, 추가 비트코인 매입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위험요인 및 시장 영향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유통량의 약 2~2.5%를 보유하고 있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큽니다.

  • 비트코인 가격 급락 시 재무 리스크가 커질 수 있으나, 현재는 파산 위험이나 대규모 매도 가능성은 낮은 상태로 평가됩니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전략은 다른 기업들의 비트코인 도입 촉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보유량 및 현황 ((2025년 5월 11일))

2025년 수치는 4월 기준 81,785개, 5월 11일 기준 568,840개로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 총 비트코인 보유량: 568,840개
  • 총 매입 금액: 394억 1,000만 달러
  • 평균 매입 단가: 69,287달러/BTC
연도연간 매입량
(BTC)
누적 보유량
(BTC, 연말 기준)
202070,47070,470
202153,921124,391
20228,109132,500
202356,650189,150
2024234,509423,659
2025*81,785 (4월 기준)568,840 (5월 기준)

연간 비트코인 매수량은 2024년에 정점에 달하였으며, 금년 5월 기준으로 누적 보유량은 56만 BTC에 달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순매수 누적매수량

향후 비트코인 투자 전망

자본조달 및 전략 변화

  • 2027년까지 420억 달러 조달(주식 210억 달러 + 채권 210억 달러) 목표, 채권 발행 비중 확대

  • 제로쿠폰 채권 등 금융공학 강화: 이자 부담 없는 장기 채권 발행, 비트코인 평가익을 담보로 재차 자금 조달하는 ‘인텔리전트 레버리지’ 전략 추진

회계 및 KPI 혁신

  • 2025년부터 공정가치 회계 도입: 비트코인 시장가치로 재무제표 반영, NAV 투명성 제고

  • BTC $ Gain 등 새로운 KPI 도입: 비트코인 평가익을 핵심 성과지표로 삼아 투자자 설득력 강화

시장 영향력 확대

  • 2045년 100만 BTC 보유 목표: 연간 20~30만 BTC 추가 매입 계획, 전체 유통량 5% 차지 목표

  • ‘기업형 비트코인 ETF’ 역할 강화: 글로벌 기관투자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

리스크 관리

  • 담보 운영 최적화: 비트코인 평가익을 담보로 저리 자금 조달, 금리 리스크 완화
  • 규제 대응 강화: SEC 등 규제 환경 변화에 선제적 대응

결론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전통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세계 최대 비트코인 상장 보유사로 완전히 변모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과 주가가 밀접하게 연동되는 ‘비트코인 프록시’로, 주식·채권 등 다양한 자본조달과 금융공학 전략을 결합해 초과수익률을 추구합니다.


향후 100만 BTC 보유, ‘기업형 비트코인 ETF’로의 진화, 공정가치 회계 도입 등 혁신적 행보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가격 급락, 자본조달 비용 증가, 규제 변화 등 리스크도 상존하므로 투자자들은 변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트레저리 컴퍼니”로서,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경계에서 새로운 기업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