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의 지급은 우리가 평소에 자주 이용하는 각종 소비재 산업인 건강식품, 편의점, 화장품, 식자재 업종까지 경제 전반에 크고 작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디에, 어떻게 혜택이 집중될지 알아 둔다면 투자와 생활 모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오늘은 실제 수혜를 입는 업종과 주요 상장사를 구체적으로 짚어봅니다.

건강기능식품: 국민 건강과 함께 성장
민생지원 소비쿠폰은 약국과 건강기능식품 매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이 비타민, 유산균 등 영양제를 미리 구비하거나 평소 망설였던 고가의 건강기능식품에 소비를 늘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표 수혜주식 및 관련 기업:
- 경남제약: 비타민C로 유명하며 약국 유통망이 강점
- 노바렉스, 비씨월드제약: 건강기능식품, 영양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 보령, JW중외제약: 영양제 포함 다양한 의약품을 약국으로 공급하는 제약사들입니다
- 영양제 판매가 편중되는 약국 응대형 제품군의 성장세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안경 및 아이웨어: 교체 수요 폭증 기대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안경원은 이번 정책의 또 다른 수혜처입니다.
실제로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경험에 따르면, 안경원 매출은 66.2%나 증가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도 시력보정과 스타일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안경테, 선글라스, 콘택트렌즈 등 다양한 제품을 찾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수혜주식·주요 브랜드:
- 라운즈: 전국 가맹 안경원에서 소비쿠폰 사용 가능, 실속형 프로모션 전개
- 다양한 동네 안경원 브랜드와 프랜차이즈 안경점: 쿠폰 적용 확장에 따라 큰 폭의 매출 증가 기대
구분 | 대표 브랜드/기업 | 관련 수혜 포인트 |
---|---|---|
안경, 렌즈 | 라운즈 등 | 교체 수요 급증, 고가 제품 수요↑, 재난지원금 효과 입증 |

편의점 업계: 즉각적인 매출 상승 기대
소비쿠폰 사용이 대형마트·백화점이 아닌 지역 소상공인 매장, 특히 편의점에서 집중될 예정입니다.
실제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GS25 등 편의점 매출이 월 200% 이상 급증했고, 이번에도 유사한 흐름이 전망됩니다.
대표 수혜주식:
- BGF리테일(대표: CU), GS리테일(GS25), 이마트24, 세븐일레븐 등 전국 가맹 편의점
- 할인 행사, 라면·생수·심야 간식류 등 상품 매출 상승
편의점 관련주 비교 표
종목명 | 특징 | 수혜 기대 포인트 |
---|---|---|
BGF리테일 | 전국 CU가맹점, 소상공인과 직결 | 지역소비·간편식·생필품 수요 폭증 |
GS리테일 | GS25, PB상품 마케팅 강점 | 할인이벤트+신선식품·라면 매출 증가 |
이마트24 | 젊은 층 공략, 테마점 많음 | 편의성 소비 확대, 이벤트 마케팅 기대 |
화장품 업계: 유통 구조 따라 수혜 편차
화장품 업계도 쿠폰 혜택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브랜드 직영매장이 많은 경우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용과 뷰티 관련 소비가 늘며 지역 기반 브랜드나 프랜차이즈 매장이 수혜를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대표 수혜주식:
- 아모레퍼시픽, 에이블씨엔씨: 동네 매장 또는 미용 소매점 중심으로 실적 개선 기대
- 기타 지역 화장품 취급 상점/프랜차이즈 매장

식자재 회사: 외식업·가정 모두 소비 확대
식자재 유통·가공 식품 업체도 소비쿠폰 발행의 주요 수혜 업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연매출 30억 원 미만 식자재 마트와 식품 회사가 쿠폰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정되어 있어 외식업 소상공인은 물론, 일반 소비자까지 매출 확대 효과가 기대됩니다.
대표 수혜주식:
- CJ제일제당, 풀무원, 하림, 마니커: 반찬, 조미료 식자재 및 단백질 공급군
- 동원산업, 사조씨푸드 등 수산/가공식품
- 오뚜기, 농심, 대상: 라면·스낵, 가공 식품 판매 증가
- 특히, 육류제품 소비 증가로 인하여 미트박스 회사는 더욱 주목을 받고 있음
주요 수혜주 종합 표
업종 | 대표 수혜 상장사/브랜드 | 비고 |
---|---|---|
건강식품 | 경남제약, 노바렉스, JW중외제약, 보령 | 약국·오프라인 건강기능식품 매출↑ |
안경 | 라운즈, 동네안경점 프랜차이즈 | 교체수요 폭증, 실제 매출 66%↑ 입증 |
편의점 | BGF리테일, GS리테일, 이마트24, 세븐일레븐 | 가맹점 중심, 라면·생필품 이벤트↑ |
화장품 | 아모레퍼시픽, 에이블씨엔씨 등 | 지역 프랜차이즈 및 소형매장 중심 수혜 |
식자재/가공식품 | CJ제일제당, 풀무원, 오뚜기, 하림 등 | 식자재 마트, 반찬·간편식 매출 확대 |
결론
민생지원 소비쿠폰 덕분에 건강식품, 안경, 편의점, 화장품, 식자재 관련 국내 상장사들이 단기간 내 매출 증가 효과를 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평소 소비자들이 망설이던 제품 교체나 추가 구입, 건강을 위한 투자, 가족 생필품 구매 등 실제 생활과 밀접한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보여 집니다.
특정 종목이나 업종에 대한 관심과 준비가 현명한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정책을 계기로, 우리 생활에서 ‘꼭 필요한 소비’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다는 점이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 신호가 아닐까요?
혹시 여러분은 소비쿠폰을 어떤 곳에 쓸 계획이신가요?
부디 현명하고 알찬 소비, 그리고 투자에 이번 정보를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시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