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액티브 ETF는 전통적인 패시브 ETF와 달리,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투자 종목과 비중을 조정하여 시장 벤치마크(비교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펀드 입니다.
이는 운용사의 운용능력에 따라 투자자의 수익률이 좌우되기 때문에 전문성이 뛰어난 운용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024년 부터 2025년 1분기까지 국내 수익률 상위 TOP 5 액티브 ETF는 무엇일까요? 각 종목별 거래규모 등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2024년 연간 수익률 및 2025년 1분기 기준, 레버리지·인버스 제외)
TOP 5 국내 Active ETF
HANARO 글로벌생성형AI액티브
- 상장월 : 2023년 7월
- 수익률 : 약 91.21%
- 보수율 : 연 0.70%
- 분배율 : 분배금 미지급 (재투자형)
- 시가총액 : 약 308억 원
- 일평균 거래대금 : 약 8억~10억 원
- 운용전략 : 생성형 AI 관련 미국 상장 30여 개 기업(서비스, 인프라, 반도체 등) 분산 투자. 펀드매니저가 종목과 비중을 일부 조절하여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액티브 형. 대표 편입종목은 엔비디아, 우버, ServiceNow 등
- 비교지수 : Solactive United States Technology 100 Index (원화 환산)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 상장월 : 2023년 5월
- 수익률 : 약 90.06%
- 보수율 : 연 0.80% (실부담비용율 1.55%)
- 분배율 : 연 4회(1, 4, 7, 10월) 지급 구조이나 최근 분배금 미지급
- 시가총액 : 2,312억 원
- 일평균 거래대금 : 약 40억~50억 원 추정
- 운용전략 : 글로벌 AI 산업 대표 기업(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텐센트 등)에 투자. , 펀드매니저가 성장 잠재력 높은 종목을 적극적으로 편입
- 비교지수 : Solactive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지수
- 기타 : 분배금 지급 구조이지만 최근에는 분배금 미지급. 실부담비용율이 높음(액티브 운용 특성)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 상장월 : 2022년 5월
- 수익률 : 약 84.08%%
- 보수율 : 연 0.80% (실부담비용율 1.26%)
- 분배율 : 미지급 (재투자형)
- 시가총액 : 2,754억 원
- 일평균 거래대금 : 약 26억 원
- 운용전략 : 나스닥100 지수를 비교지수로, 메가트렌드 산업 주도 미국 상장주에 집중. 펀드매니저가 시장 상황에 따라 종목과 비중을 적극적으로 조정하여 초과수익 추구. 대표 편입종목은 테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 팔란티어, 코인베이스, 아마존 등
- 비교지수 : 나스닥100 지수
- 기타 : 분배금 지급 없음, 원화-달러 환노출 구조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 상장월 : 2023년 9월
- 수익률 : 약 82.06%
- 보수율 : 연 0.30% (실부담비용율 0.49%)
- 분배율 : 미지급 (재투자형)
- 시가총액 : 6,372억 원
- 일평균 거래대금 : 약 64억 원
- 운용전략 : 나스닥 상장 빅테크 시총 상위 7~10종목에 집중. 상위 7종목에 95% 이상 비중을 두는 수정시총동일가중 방식. 대표 편입종목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등
- 기타 : 낮은 보수율, 분배금 지급 없음, 성장주 집중

에셋플러스 글로벌플랫폼액티브
- 상장월 : 2023년 11월
- 수익률 : 약 81.18%
- 보수율 : 연 0.99%
- 분배율 : 미지급 (재투자형)
- 시가총액 : 431억 원
- 일평균 거래대금 : 약 1억 원
- 운용전략 : 글로벌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기업(미국 빅테크, 글로벌 대형주 등) 선별 투자, 시장 상황에 따라 포트폴리오 적극 조정. 성장주 중심, 분산 투자
- 기타 : 국내 액티브 ETF 중 비교적 높은 보수율, 분배금 지급 없음

상품별 비교표
높은 수익율을 기록한 종목은 모두 미국 빅테크, AI, 반도체 등 글로벌 성장주·첨단기술주에 집중한 액티브 입니다. 주요 테마는 AI, 생성형 AI, 미국 성장주, 나스닥100, 글로벌 테크 등 2024년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였습니다.
순위 | ETF명 | 운용사 | 2024년 수익률 |
---|---|---|---|
1 | HANARO 글로벌생성형AI액티브 | NH아문디자산운용 | 91.21% |
2 |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 타임폴리오자산운용 | 90.06% |
3 |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 타임폴리오자산운용 | 84.08% |
4 |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 한국투자신탁운용 | 82.06% |
5 | 에셋플러스 글로벌플랫폼액티브 | 에셋플러스자산운용 | 81.18% |
주요 특징
수익률이 높은 종목들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AI·빅테크·테크주 집중
- 상위 액티브는 대부분 미국 빅테크, AI, 반도체, 생성형 AI 등 혁신 기술주에 집중 투자합니다.
- 예시: HANARO 글로벌생성형AI,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 TIMEFOLIO 미국나스닥100,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등
액티브 운용의 강점
-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상황에 따라 종목과 비중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액티브 전략을 채택합니다.
- AI 산업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테마에 신속하게 대응해, 패시브 ETF 대비 초과수익을 노립니다.

테마 다변화 및 트렌드 반영
- 생성형 AI, 원자력, 전력, 방산 등 다양한 미래 성장 산업에 투자하는 ETF가 상위권에 포진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HANARO 글로벌생성형AI액티브는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인프라까지 산업 전반에 투자하며, HANARO 원자력iSelect는 원자력 관련 대형주에 집중합니다.
높은 수익률과 자금 유입
- 2024년 1년 수익률이 80~100%에 달하는 ETF가 다수 등장했습니다.
- AI, 반도체, 미국 성장주 랠리에 힘입어 높은 성과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 자금 유입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유연한 포트폴리오 구성
- 시장 변화에 따라 종목 편입과 비중 조정이 자유로워, 특정 업종이나 종목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용이합니다.
- 예를 들어, AI 산업 내에서도 주문형 반도체(ASIC), AI 소프트웨어, AI 로봇 등 세부 섹터별로 비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수익률 상위 운용사 특징
국내 수익률 상위 Active ETF의 운용사별 성과 차이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탁월한 초과 성과)
- 성과 요약:
타임폴리오는 2024~2025년 국내 액티브 ETF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 기록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등 주요 ETF가 각각 연 68~69%의 수익률로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상장 ETF의 88.9%가 기초지수 대비 초과성과 기록 - 비결:
펀드매니저의 적극적 종목 교체, AI·미국 빅테크 등 시장 트렌드에 맞춘 운용
레버리지 없이도 높은 수익률 달성 - 자금 유입:
2024년 한 해 동안 ETF 순자산이 230% 이상 성장, 시장 내 영향력 확대 -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바로 가기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특정 테마에서 두각)
- 성과 요약:
에셋플러스 글로벌플랫폼액티브, 글로벌대장장이액티브 등은 각각 56%, 49%의 수익률로 상위권에 진입 - 특징:
글로벌 플랫폼, 산업재 등 특정 성장 테마에 집중해 성과를 냄
NH아문디자산운용 (국내산업 특화 성과)
- 성과 요약:
HANARO 원자력iSelect ETF는 2024년 국내 부문 수익률 1위(63%)를 기록 - 특징:
원자력, 조선 등 국내 산업 강세 테마에 집중, 국내 투자자 수요에 부합
한국투자신탁운용(테마별 성과 격차)
- 성과 요약: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ETF는 +51%포인트 초과성과
반면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는 -19%포인트로 부진 - 특징
테마별 성과 편차가 크고, 미국 빅테크·성장주 비중이 높음
미래에셋자산운용 (테마별 상이한 성과)
- 성과 요약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는 +17.5%포인트 초과성과
TIGER 퓨처모빌리티액티브 ETF는 최근 1년 기초지수와 유사한 성과 - 특징:
AI, 미래차 등 첨단 테마에 집중. 상품별 성과 차이 존재
기타 운용사(안정적 운용)
- 성과 요약:
KB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KoAct) 등은 대체로 기초지수와 유사하거나 소폭 초과성과를 기록 - 특징:
공격적 운용보다는 안정적, 분산적 운용 전략을 선호
핵심 차이 요약
운용사 | 대표 성과/특징 |
---|---|
타임폴리오 | 초과성과 비율·수익률 모두 최고 AI·미국 빅테크 강점 |
삼성자산운용(KODEX) | 안정적 초과성과 다양한 테마 대응 |
에셋플러스 | 플랫폼·산업재 등 특정 테마 강점 |
NH아문디 | 국내 산업(원자력 등) 특화 |
한국투자신탁(ACE) | 테마별 성과 격차 큼 빅테크·성장주 집중 |
미래에셋(TIGER) | 테마별 상이한 성과, AI·미래차 등 첨단산업 집중 |
KB·KoAct 등 | 안정적 분산 운용 기초지수와 유사한 성과 |
투자 전략
액티브 ETF는 특정 섹터나 종목이 시장을 주도하는 시기에 해당 비중을 늘리고, 비주도 섹터는 줄이는 등 비중을 전략적으로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S&P500 내에서도 해마다 주도 섹터가 바뀌기 때문에, 액티브 ETF는 그 흐름을 빠르게 반영해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미래 성장성이 높은 테마(예: AI, 클린에너지, 로보틱스 등)나 혁신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이 많습니다. 장기적으로 성과가 기대되는 산업에 투자해야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운용보수(수수료)가 패시브 ETF보다 높아서, 연 0.5~1% 이상이 일반적이며 이는 초과 수익이 나지 않을 경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매니저의 시장 판단이 빗나가면 패시브 ETF보다 저조한 성과가 날 수 있는 등 성과가 운용회사의 역량에 크게 좌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