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DC형 계좌에서 서학개미에게 가장 인기 있는 NVIDIA, Tesla, Apple 및 Google 등을 살 수 있나요?
퇴직연금(DC형, IRP 등) 계좌에서는 테슬라 개별 주식을 직접 매수할 수 없습니다. 국내 연금계좌(퇴직연금, 개인연금, IRP)에서는 해외 주식의 직접 투자가 법적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인공 지능 컴퓨팅의 세계적인 리더 | NVIDIA 바로 가기
개인 위탁계좌에서 미국 주식을 직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테슬라에 투자하고 싶다면, 테슬라 비중이 높은 ETF를 활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Electric Cars, Solar & Clean Energy | Tesla 홈페이지 바로 가기
국내에는 테슬라 주식이나 테슬라 관련기업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 상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이들 상품은 퇴직연금 계좌에서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럼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 개별 종목을 벤치마크 하고 있는 ETF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금년도 연말정산을 위하여 연금계좌, IRP 등의 한도를 채우기를 원하시는 분이나 투자자산의 30%를 안전자산으로 채워야 하는 것에 대한 고민하시는 분들에게는 나름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채권혼합형 ETF (3가지)
미국시장의 기술주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및 테슬라 등 성장성이 높고 수익성이 좋은 다양한 종목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가격 변동성이 커서 퇴직금 연금 등으로 투자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물론 IRP 및 연금계좌에서 직접적인 투자는 불가능합니다.
변동성을 보완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미국 첨단 기술주와 국채를 혼합한 ETF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종목입니다. 참고로 3개 ETF는 4등급 보통위험(1등급으로 갈수록 위험)으로 안전자산 범주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채권혼합형 ETF 자금유입 증가
DC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에서 채권혼합형 상품으로 자금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DC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에서의 매수가 전체 유입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3월 |
DC형 퇴직연금에서 유입된 자금 규모 | 약 5534억 | 약 6500억~8300억 | 약 3조4005억원 (6배 증가) |
주요 자금증가 요인
위험자산 실질적 확대 가능
DC형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위험자산(주식형 펀드 등) 투자 비중이 70%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비중이 40% 미만인 채권혼합형 ETF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계좌 내 100%까지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위험자산 70% 한도를 넘어서 주식 비중을 실질적으로 80~90%까지 확대할 수 있습니다.
시장 성장세
채권혼합형 ETF는 2022년 말 5534억원에서 2025년 3월 말 기준 3조4005억원으로 약 6배 성장했습니다. 2024년 한 해에만 6500억~8300억원의 신규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상장 ETF 수도 2022년 35개에서 2025년 3월 기준 48개로 늘었습니다.
연금 투자자 관심
시장 선점을 위한 운용사들의 신상품 출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국 기술주와 국내 단기채권을 결합한 상품, 미국 배당주와 미국채를 5:5로 결합한 상품 등 다양한 채권혼합형 ETF가 등장했습니다. 이는 변동성 장세에서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투자자 수요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ACE 엔디비아채권혼합블룸버그
운용사 | 한국투자 |
지수 | 블룸버그 Blended 엔디비아 Equity and Korean Bond TR |
상장일 | 2022년 11월 |
시가총액 | 1,571억 |
총 보수(비용 포함) | 0.1889% |
분배금 | 배당없이 재투자하는 Total Return |
1년 수익률 | 16.33% |
보수(비용)
총 0.1889%로 나머지 2개에 비하면 싼 편으로 22년 상장된 이후 최근 엔디비아 주가의 하락에 따라 연 수익률은 16.33%에 머므르고 있다.
구성종목
상품을 구성하고 있는 종목은 엔디비아와 국고채 13개이며 엔디비아 비중은 총 30.48%입니다. 단일종목인 엔디비아와 채권의 투자비율을 3:7로 유지하여 수익성과 안전성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습니다.
주가전망
향후 엔비디아의 주가는 AI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 및 우주, 로봇 등 다양한 응용 분야의 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엔디비아의 자체 기술혁신 등 중장기 혁신전략에 따라 기업의 가치는 상승곡선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운용사 | 미래에셋 |
지수 | FnGuide 테슬라채권혼합지수 |
상장일 | 2022년 11월 |
시가총액 | 4,638억 |
총 보수(비용 포함) | 0.35% |
분배금 | 2.80%(1주당 배당금은 372원) |
1년 수익률 | 30.42% |
보수(비용)
투자를 위하여 지급하는 보수와 비용은 총0.35%입니다. 22.11월에 상장되었으며 설정 이후 연수익률은 약 30.42%로 엔디비아에 비하여 높은 편입니다. 테슬라 주가는 급등락을 반복하여 엔디비아에 비하면 다소 처지는 상황입니다.
구성종목
총 7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Tesla와 국고채 6개이며 Tesla의 비중은 29.94%이고 나머지는 국고채입니다. 개별종목과 채권의 투자비율인 3:7을 준수하며 운용하고 있습니다.
주가전망
Tesla의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날개를 달고 있다가 최근에는 하락하였습니다.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운용사 | 미래에셋 |
지수 | FnGuide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지수 |
상장일 | 2023년 12월 |
시가총액 | 2,012억원 |
총 보수(비용 포함) | 0.36% |
분배금 | 0.44% 연배당 |
1년 수익률 | 13.50% |
보수(비용)
미래에셋자산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작년 12월에 상장되어 설정 이후 1%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어 위의 2개 종목에 비하면 다소 처지는 편입니다.
구성종목
미국 Apple, Microsoft 및 NVIDIA 등 5개 회사와 국고채 5개 등 총 1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 기업들의 비중은 총 33.36%이며 나머지는 안전한 국고채입니다. 자산과 채권의 비율이 3:7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주가전망
오랜 경험과 노하우, 수많은 투자처와 네트워크를 보유한 미국테크TOP10 기업은 AI 붐의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유망한 성장 산업에 R&D 투자를 지속하면서 성장성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종목별 비교
구 분 | ACE 엔디비아채권혼합 블룸버그 | TIGER 테슬라 채권혼합fn | TIGER 미국테크TOP10 채권혼합 |
벤치마크 지수 | 블룸버그 Blended 엔디비아 Equity and Korean Bond TR | FnGuide 테슬라 채권혼합지수 | FnGuide 미국테크 TOP10 채권혼합 지수 |
총 보수 (비용 포함) | 0.1889% | 0.35% | 0.36% |
분배금 | 배당없이 재투자하는 Total Return | 2.80%(1주당 배당금은 372원) | 0.44% 연배당 |
국고채 비중 | 국고채 70.0% | 국고채 31.1% | 국고채 66.6% |
위의 표를 표면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의 국고채 비중이 제일 낮으며 이에 따라 분배금 수익률도 2.8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결론
위에서 설명드린 3개의 채권혼합형 ETF는 미국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첨단 하이테크 기업으로 향후 AI 신기술의 개발 및 영역 확대에 따라 뛰어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수익률이 높은 종목들이지만 국채 등 안전자산과 혼합하여 투자하여 성장성과 리스크를 적절히 반영한 ETF이며 IRP 및 DC형 계좌의 안전자산 의무비율 30%를 준수하기에는 좋은 상품으로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