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에도 파급 효과를 미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결정의 주요 내용과 의미, 그리고 연도별 추이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금액 및 인상율
-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320원
- 2025년 대비 인상금액: 290원 인상
- 인상율: 2.9%
- 월급 환산액(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156,880원
이번 인상은 2025년 최저임금(10,030원)보다 290원 오른 금액으로, 인상률 2.9%는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입니다.

연도별 최저임금 추이
아래 표는 최근 10년간 최저임금의 변화와 인상률을 정리한 것입니다.
연도 | 시급(원) | 인상액(원) | 인상률(%) | 월급 (209시간 기준, 원) |
---|---|---|---|---|
2026 | 10,320 | 290 | 2.90 | 2,156,880 |
2025 | 10,030 | 170 | 1.70 | 2,096,270 |
2024 | 9,860 | 240 | 2.50 | 2,060,740 |
2023 | 9,620 | 460 | 5.00 | 2,010,580 |
2022 | 9,160 | 440 | 5.05 | 1,914,440 |
2021 | 8,720 | 130 | 1.50 | 1,822,480 |
2020 | 8,590 | 240 | 2.87 | 1,795,310 |
2019 | 8,350 | 820 | 10.90 | 1,745,150 |
2018 | 7,530 | 1,060 | 16.40 | 1,573,770 |
2017 | 6,470 | 440 | 7.30 | 1,352,230 |
출처: 최저임금위원회,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2026년 합의 결정 과정
- 노사·공익위원 합의: 2026년 최저임금은 17년 만에 노사와 공익위원이 합의로 결정한 사례입니다. 2008년(2009년도 적용) 이후 처음으로 표결 없이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사회적 대화의 의미가 큽니다.
- 결정 과정:
- 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