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임금: 금액, 인상율, 연도별 추이 등 총정리

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에도 파급 효과를 미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결정의 주요 내용과 의미, 그리고 연도별 추이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2026년 최저임금 인상금액 및 인상율

  •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320원
  • 2025년 대비 인상금액: 290원 인상
  • 인상율: 2.9%
  • 월급 환산액(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156,880원

이번 인상은 2025년 최저임금(10,030원)보다 290원 오른 금액으로, 인상률 2.9%는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입니다.

2026년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추이

아래 표는 최근 10년간 최저임금의 변화와 인상률을 정리한 것입니다.

연도시급(원)인상액(원)인상률(%)월급
(209시간 기준, 원)
202610,3202902.902,156,880
202510,0301701.702,096,270
20249,8602402.502,060,740
20239,6204605.002,010,580
20229,1604405.051,914,440
20218,7201301.501,822,480
20208,5902402.871,795,310
20198,35082010.901,745,150
20187,5301,06016.401,573,770
20176,4704407.301,352,230

출처: 최저임금위원회,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

2026년 최저임금

2026년 합의 결정 과정

  • 노사·공익위원 합의: 2026년 최저임금은 17년 만에 노사와 공익위원이 합의로 결정한 사례입니다. 2008년(2009년도 적용) 이후 처음으로 표결 없이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사회적 대화의 의미가 큽니다.
  • 결정 과정:
    • 노동계는 1만 900원(8.7% 인상), 경영계는 1만 180원(1.5% 인상)을 제안하며 입장 차가 컸으나, 공익위원이 제시한 심의촉진구간(1만 210원~1만 440원, 1.8~4.1% 인상) 내에서 최종 조율이 이뤄졌습니다.
    • 회의는 일부 근로자위원의 퇴장 등 진통이 있었으나, 약 8시간의 논의 끝에 2.9% 인상안에 합의했습니다.
  • 의의:
    • 이번 합의는 물가상승률, 취약 노동자와 소상공인 여건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입니다.
    • 최저임금위원회는 결정안을 고용노동부에 제출하며, 8월 5일까지 최종 고시됩니다.
2026년 최저임금

영향 및 전망

  • 영향 근로자 수: 약 290만 4천 명(영향률 13.1%),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준 약 78만 2천 명(영향률 4.5%)으로 추산됩니다.
  • 사회적 논의: 노동계는 인상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으나, 경영계는 부담 완화를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현장 준수와 지도·감독을 강화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