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제를 생산하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 3곳에 대한 회사 정보부터 주가, 신약, 성장성 및 미래 전망까지 한눈에 비교 분석합니다.
현재까지는 주사액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내년부터는 복용하기 편리한 경구용 약이 출시될 예정으로 현재 임상시험 중에 있습니다.

회사 개요 및 주요 사업 영역
회사명 | 설립 | 본사 | 주요 사업/제품 |
---|---|---|---|
노보 노디스크 | 1923년 | 덴마크 | 인슐린, 당뇨병 치료제, 비만치료제(GLP-1 계열), 성장호르몬, 희귀질환 치료제, 혈우병 치료제 등 |
일라이 릴리 | 1876년 | 미국 | 당뇨병/비만 치료제(마운자로, 제프바운드),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ADHD 치료제, 해열진통제, 종양 치료 신약 등 |
바이킹 테라퓨틱스 | 2012년 | 미국 | 비만치료 신약(VK2735), 지방간/대사질환 신약 (임상 개발), 희귀질환 치료제 |
노보 노디스크, 일라이 릴리는 전통적인 글로벌 제약사이며, 바이킹 테라퓨틱스는 혁신 바이오업계의 신흥 강자로 꼽힙니다.

생산품 요약 (2025년 기준)
- 노보 노디스크 Novo Nordisk
GLP-1 계열 치료제(위고비, 오젬픽, 라이벨서스), 각종 인슐린, 성장호르몬, 혈우병 치료제 등 - 일라이 릴리 Eli Lilly
마운자로, 제프바운드(티르제파타이드), 프로작, 자이프렉사, 심발타 등 정신신경계/종양/내분비계 치료제 폭넓게 보유 - 바이킹 테라퓨틱스 Viking Therapeutics
경구 및 주사 신약 VK2735(임상2/3상 진행 중), 지방간(MASH) 신약 등 임상 파이프라인 중심

주식거래 규모 및 시가총액 (2025년 7월 기준)
회사명 | 상장시장/티커 | 2025년 시가총액 | 주가 구간(예시) |
---|---|---|---|
노보 노디스크 | NYSE·NASDAQ· 코펜하겐(NVO) | 약 5,000억달러 | $70~$180 |
일라이 릴리 | NYSE(LLY) | 1조달러 근접 | $800~$1,900 |
바이킹 테라퓨틱스 | NASDAQ(VKTX) | 약 37억달러 (변동폭 큼) | $33~$104 (목표가) |
*시장 변동성에 따라 시가총액 및 주가 구간은 급격히 변할 수 있습니다.
주가 추이 및 향후 상승 가능성
노보 노디스크 (Novo Nordisk)
- 2024년 상반기 최고가 $145에서 2025년 4월 저점 $57로 급락했으나, 7월 기준 $70대에서 거래 중
- 중장기적으로 비만 및 당뇨 신약 매출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 기대.
- 전문가 예상: 2025년 평균 $173, 2030년 $219, 2040년 $736까지 상승 가능성 (연평균 20% 이상)
- 상승 동력: 위고비 등 신약 매출, 글로벌 시장 확대, 희귀질환 제품 출시
- 리스크: 약가 정책, 공급 이슈, 글로벌 경쟁 격화
일라이 릴리 (Eli Lilly)
- 2024년 $600에서 2025년 $1,000 안팎까지 급등, 2025년 현재 $1,500~$1,900대에서 등락
- 향후 성장성: 비만 신약(마운자로, Zepbound) 시장점유율 급확대, 2025~2030년 연평균 10~15% 성장 전망
- 상승 동력: 비만/당뇨 신약 매출, 뇌질환·암 신약 개발, R&D 투자
- 리스크: 인허가, 약가 정책, 경쟁 심화
바이킹 테라퓨틱스 (Viking Therapeutics)
- 2025년 7월 시총 약 37억달러, 주가 $33~$104(투자사 목표)
- 주가 변동성 매우 큼: 임상 파이프라인(특히 VK2735) 결과에 따라 급등락
- 상승 가능성: VK2735 등 신약 임상·허가 성공 시 2~3배 상승 예측, 글로벌 비만시장 성장 수혜
- 리스크: 임상 실패 혹은 지연 시 급락 가능성 높음

결론 및 투자 참고 사항
- 노보 노디스크·일라이 릴리:
비만치료제 매출 호조로 장기 상승 가능성이 크며, 신약 파이프라인 성과가 추가 상승의 관건입니다. - 바이킹 테라퓨틱스:
임상 및 허가 성공 시 폭발적 수익 기대. 다만, 단기 변동성과 위험성은 대형주보다 큽니다. VK2735 임상 등 주요 일정 주목이 필요합니다. - 제약주 투자는 신약 임상, 시장 환경, 인허가 등 복수 요인 동시 고려가 필요하며, 중장기 분산 투자가 바람직합니다.
같이 보시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