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나스닥100 ETF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ETF 기본개념 등에 대하여 다루어 보았는데, 이번에는 나스닥 및 ETF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나스닥
21세기의 최고의 벤치마크 지수로 평가받고 있는 나스닥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시 장
미국의 대표적인 증권거래소 중 하나로 뉴욕 Wall st.에 위치해 있습니다. 1971년에 설립되었으며 당시부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거래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지 수
상장된 모든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지수로, 미국 기술주 중심의 지수입니다.
나스닥100 지수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 100개 비 금융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지수는 ‘85.1월부터 산정되어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수 특징
기술주 중심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집중적으로 상장되어 있으며 NVIDAI, Apple, Microsoft, Alphabet, Amazon, Meta, Tesla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지수는 기술 산업의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기술주에 대한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됩니다.
높은 변동성
기술주는 일반적으로 다른 산업 주식보다 변동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 경쟁 심화, 경기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큰 폭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성장 잠재력
기술 산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 잠재력은 나스닥의 장기적인 상승을 기대하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하지만 기술주는 성장 초기 단계의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실패할 위험도 존재합니다.
미국 경제와의 연동성
나스닥은 미국 경제의 성장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호황일 때 지수는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경기 침체기에는 부진할 수 있습니다.
나스닥100 ETF 종류 및 비교
주요 상품으로는 운용사별로 TIGER KODEX, ACE, RISE 등의 상품이 있습니다.
상품 비교
상 품 | TIGER (미래에셋) | KODEX(TR) (삼성자산운용) | ACE (한투운용) | RISE (KB자산운용) |
---|---|---|---|---|
상장일 | ‘10.10월 | ‘21.4월 | ‘20.10월 | ‘20.11월 |
현재가(원) | 125,380 | 18,765 | 21,550 | 20,840 |
자산총액 | 3.8조원 | 1.3조원 | 1.1조원 | 0.7조원 |
일평균거래대금 | 246억원 | 92억원 | 84억원 | 78억원 |
총수수료 | 0.225% | 0.167% | 0.197% | 0.184% |
배당금 | 430원 | 자동으로 재투자 | 75원 | 117원 |
수익률 | 연0.39% | 자동으로 재투자 | 연0.39% | 연0.63% |
배당 | 연4회 | 자동으로 재투자 | 연4회 | 연5회 |
비교항목
추종 지수, 운용 수수료, 환헷지 여부 등을 비교하여 투자 목적에 맞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상장일
미래에셋 TIGER의 상장은 ‘10.10월로 가장 오래되었습니다. 그외 대부분의 상품은 2000년대에 상장 되었습니다.

지난 10년간 TIGER 수익율 추이를 보면 거의 10배에 달하는 꾸준한 수익을 보이며, 우상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0년전부터 TIGER에 투자를 하였으면, 연4회 지급되는 분배금 수익과 상품 자체의 자본이득을 합산하면 높은 수익율을 올렸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자산 규모
TIGER의 자산총액과 일평균 거래대금은 각각 3.8조원과 246억원 입니다. 다른 운용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수료
비용은 TIGER가 0.225%로 가장 높으며 ACE, RISE 등의 순서 입니다.
수익율
RISE는 연 5회 배당 및 수익율이 0.63%로 타 운용사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 KODEX(TR) 상품은 분기마다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상품 입니다.
지난번에는 ETF 개념에 대해 소개해 드리면서 국내 코스피200 ETF 상품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ETF 개념
나스닥100 ETF 특성 및 장단점
특성
미국 기술주에 간접 투자
개별 종목에 대한 분석 부담 없이, 미국을 대표하는 기술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습니다. 즉, 소액으로 미국 우량주식를 구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높은 성장 가능성
기술 산업의 성장과 함께 나스닥100 ETF를 통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나스닥 시장이 출범한 이래 지수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였습니다.
환율 변동성
ETF가 달러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율을 헷지하기 위한 상품이 출시되었으며 다른 상품에 비하여 헷지비용 등이 다소 비싸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장점
분산투자 효과
다수의 우량 기술주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액티브 펀드 대비 낮은 수수료
인덱스 펀드 방식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관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단점
시장 변동성
기술주의 특성상 시장 변동성이 커, 단기적으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환율 변동 위험
달러화 가치가 하락할 경우 원화로 환산한 수익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결론
나스닥 지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기술 기업들의 성장을 반영하는 지수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과 장단점을 지닌 투자 상품은 미국 기술 산업에 대한 간접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동성이 크고, 다양한 위험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 계획이 필요합니다.
투자 조언
위에서 소개해 드린 모든 상품은 퇴직연금 (DC, IRP), 연금저축펀드, 그리고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등 다양한 절세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젊은 투자자들에게는 ISA 계좌와 같은 절세계좌를 통해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SA 계좌는 세금 혜택을 제공하여 장기 투자에 유리하며, 미국 기술 산업의 성장을 활용해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꾀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입니다.
젊은 층이라면 이런 절세 상품을 통해 효율적인 세금 관리를 하면서 미래를 위한 투자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